웹 그리고 인간(나)의 한계

거창하게 제목에 인간이라 지칭해뒀습니다만 사실 저 자신의 한계를 말하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사실 한계라기 보다, 귀찮음에 오르지 못할 나무로 정해버리고선 아예 쳐다보지도 않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웃음)

다름이 아니라, 요즘 제가 정보를 습득하는 패턴을 보면 웹을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못한 것만 같습니다. 식사에 비유하자면, 밥상이 차려지기만 기다리고 있고, 때로는 직접 떠먹여 주길 기다리고 있다고 할 수 있을까요. 얽히고 설킨 것이 웹이며, 정보의 바다라고 불리는 인터넷인데, 이 흐름 속을 제대로 “서핑”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꼬리에 꼬리를 물고 좋은 정보든 나쁜 정보든 그 흐름이 끊기지 않는 것이 인터넷인데. 요즘 깨작깨작 편식만 하는 것 같습니다.

무슨 말인고 하니,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하나 습득하게 되면 거기에서 멈출 것이 아니라 관련된 정보를 스스로 찾아보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인정합니다. 제 생각을 무조건 강요할 수는 없는 노릇이기에 “옳다.”라고 표현한 것은 조금 어폐가 없진 않아요. 하지만, 평소의 인터넷 서핑이 너무 안이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으신가요? 눈앞에 보이는 기사에만 만족하고 고개를 끄덕일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시각에서 바라본 해석은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기사를 바탕으로 어떤 여파가 생길 것인지에 대해, 스스로 생각해본 적이 손에 꼽을 정도가 아닐까 걱정이 됩니다. 물론 단순하게 오지랖이 넓어서 남 걱정을 하는 게 아니라, 저 자신을 질책하는 겁니다.

실제로 인터넷 매체를 통한 기사와 정보는, 이제껏 집으로 배달되어 오던 그리고 가게에서 사들이던 신문이나 잡지를 통해 글을 읽는 것과 판이합니다. (인쇄된) 신문을 손에 들고 읽는 시대가 지나갔다는 것은 아닙니다. 매체가 달라진 만큼 그것에 맞게 활용하는 방식도 바뀌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단순하게 글을 읽고 만족할 것이 아니라, 링크를 통한 연관된 기사를 읽어보고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을 길러야 되지 않을까요? 누가 시키는 육체적인 일은 거부감이 생기면서, 단순 주입되는 정보에 대해선 거부감이 들지 않으시는 건가요?

일례로 요즘 화제가 되는 아이폰의 한국 내 출시. 각종 사이트에서 연일 관련 기사가 올라오고 있고, 메타 사이트들도 각종 의견으로 분분한 상태입니다. 대다수가 이동통신업체의 대응에 불만을 표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사람이 “아 그런가? 이동통신업체의 제 밥그릇 챙기기일 뿐인가?”라며 금방 수긍하고 넘어갈 뿐입니다. 왜 아이폰의 출시가 불확실했는지 그리고 왜 이동통신업체가 (정말 그리 하다면) 아이폰의 출시를 꺼리고 있는지, 이런 부분에 대해선 그 누구도 심각하게 파고들어가지 않습니다. 막말로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라고 편하게 해석하고 누구 한 명 나쁜 놈 만들면 되는 걸까요? 그러면 문제가 해결되는 걸까요? 인터넷 표준을 부르짖으며 무작정 엑티브엑스 첼폐, 나아가서는 MS독점 반대를 선동하는 글이 보이지만, 정작 왜 현재 상황에 이르렀는지 그리고 무엇이 문제가 되는지를 제대로 설명하지 않습니다. 궁극적으로는 “아 사실 내가 쓰기 불편해서 그런다.” 아닌가요? 말이 조금 새어버렸네요. 어떤 식으로든 의견을 피력하는 것 자체에 대해서 옳고 그름을 따지려는 것이 아닙니다. 물론 기사 또는 글을 작성함에 있어서 편협한 시각만을 보여줄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만, 이런 건 강요한다고 해서 해결될 일이 아니니까요.

개인적으로 펜이 칼보다 강한 이유는, 칼이 한 명을 굴복시킬 때, 펜은 그에 수십 배에 해당되는 군중을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펜이 칼보다 강할 수 있게 만드는 근원은 바로 글을 읽는 독자 또는 청중에 있다고 믿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글 자체는 사람을 (직접) 움직이지 않습니다. 마음과 몸이 움직이는 것은 글의 해석에 달렸으며, 글의 해석은 궁극적으로 그 글을 읽는 자신에게 달린 것 아니겠습니까. 우리는 스스로 움직일 수 없을 때 누군가가 밥을 떠먹여 주길 기다립니다. 아주 어리거나, 늙거나 아니면 몸이 심하게 아픈 경우에 말입니다. 혹시 생각도 누군가 대신해주길 바라시는 건 아닌가요? 뇌사로 침대에 누워 있지 않은 한, 누구나 생각할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를 비롯한 요즘 사회 전체가 생각한다는 것 자체를 망각하고 살아가는 건 아닌지 걱정이 됩니다.

항상 기사들을 대함에 있어서, 읽는 것에 멈출 것이 아니라, 링크에 링크를 타고 다방면의 시각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왜?”라는 궁금증을 항상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그래야만 선택의 강요를 방지할 수 있고, 설혹 선택이 강요되더라도 좀 더 현실에 대해서 냉정한 판단을 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요? 즐겨찾기에 쌓이는 사이트가 늘어나고, RSS 리더기에 등록된 블로그가 늘어남에 따라 점점 스스로 판단하는 능력을 잃어 가고 있진 않은지, 거울에 비친 제 모습을 바라보며 자신에게 질문을 던져봤었습니다.

7 Replies to “웹 그리고 인간(나)의 한계”

  1. 퇴고에 퇴고를 거쳐도, 읽으면 읽을 수록 허점이 꼬리에 꼬리를 무는 글이다. 어디 튈지 모를 고무공처럼 사방으로 튀고 있는 게 눈에 선한데, 어디서 부터 잡아야 할지 답답하다. 글보다 숫자로 그리고 기호로 표현하는 것이 더 익숙하다는 공대생 출신이라지만, 난 왠지 글로 표현하는 것이 좀 더 마음에 와닿는다. 물론 덕분에 글 잘쓰는 사람들이 부럽다. 🙂

  2. 링크에 링크를 물고 따라가다 보면 원래 목적은 잊고 삼천포에 가 있는 내 자신을 발견합니다. 가끔은 아예 기억도 안 나죠.
    아, 삼천포가 이제 지명에서 사라졌다는데… (뭔 소리야..)

    1. 한편으론 웹의 무서움이란게 그런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 방대한 정보 앞에서 무력해지는 인간이랄까요. 너무나 많으니 알아서 누군가가 선택해주길 기다리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

    1. 이유를 대라면 한 두가지가 아니겠지요. 🙂 앞서 올린 글에 밝힌 것처럼, 제 자신을 잃어가는 것만 같아서 초심으로 돌아가기 위해 자숙중입니다. 본의아니게 심려를 끼쳐드렸다면 죄송합니다.

  3. 서양에 개인주의가 있다면 한국엔 우루루주의. 우루루 잘 뭉치는 장점도 있지만 우루루 몰아가고 우루루 끌려가는 단점도있음. critical thinking 수업을 좀 들을 필요가 있음. 아, 그리고 @odlinuf 님 처럼 혼자 삼천포로 빠지는 위험한 사람들은 특별히 주의해야함.

    1. 더이상 세상은 일방통행이 아닌데, 오해하시는 분들이 계실까봐 걱정입니다. 물론 일방통행이 아니라는 것이 모든 사람에게 선택권한이 주어졌다는 것은 아니지만서도, 요즘은 주어진 기회마저 저버리는 것만 같아요.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