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멋대로 써보는 ‘타짜’ 그리고 ‘베토벤 바이러스’ 결말

진짜 진짜 한번 스윽 읽은 뒤 웃고 넘어가실 분만 읽으시길. 경고 경고 경고 합니닷! 보고 나서 제 탓해도 소용 없어요.

내멋대로 타짜: 열어보기
타짜는 무조건 베드엔딩. 이미 아버지도 죽고 아제도 죽은 마당에 더이상의 해피엔딩은 없다.
정마담은 (고니와 영민의 다툼 속에서) 영민을 감싸기 위해 고니를 찔러 죽이고, 울부짖는 영민을 향해 경찰로 부터 피하라고 다그친다.
망연자실해서 도심을 헤매는 영민. 교도소에서 출감한 광숙의 오빠 (이름 몰라) 눈에 띄게 되고, (광숙이 면회때마다 그렇게 말렸었건만) 복수심에 불타 그를 죽이기 위해 결심한다.
같은 날 밤, 광숙은 (복수를 위해 영민을 죽이려는) 자신의 오빠로 부터 영민을 감싸다가 (오빠한테 찔려서) 죽게 (허덜덜) 된다. 하나뿐인 동생이 자신의 손에 숨이 끊어지자 드디어 미쳐버린 광숙의 오빠는 다리에서 뛰어 내려 자살.
끝났냐고? 아니 국물도 없지. 아직 멀었다.

뒷수습을 마치고 아무 일이 없다는 듯 ‘하우스’로 돌아온 정마담에게 돌아온 건 칼침. 칼로 흥한 자, 칼로 망한다고, 정마담이 목격한 것은 계동춘이 그동안 받았던 (저질스런) 대우를 갚고자 아귀를 칼로 찌르는 장면. 동춘은 차인 것도 있고, 목격자도 없앨겸, 정마담까지 ‘처리’해버린다.
아뿔싸 아귀만 처리하고 자리를 떴어야 하는 것일까 정마담까지 처리하느라, 아귀 부하에게 살인 장면이 목격되어 버린 계동춘. 도망치다가 길에서 차에 치여 사망.
영민만 살았네? (20부작이라니까) 아직 안 끝났다. 주변 사람들을 모두 잃게 된 영민은, 혼자서 울다가 수분 부족으로 사망 (응? 얼마나 운거냐능!)

내멋대로 베토벤 바이러스: 열어보기 베토벤 바이러스는 끝까지 아스트랄함으로 가야한다는.
강마에에게 차인 두루미와 버림받은 리틀강건우. 이 둘은 자신들을 버린 강마에게 복수하기 위해 열심히 시간과 정신의 방에서 수련을 한다. (응? 어디라고?) 천부적인 자질과 음악에 대한 열정이 뭉치면 안될 것이 없다고, 결국 둘은 퓨전 기술을 완벽히 연마하곤 강마에에게 최후의 일격을 날리기 위해 합체를 한다.
혼자서 매일밤 수면약에 잠을 달래던 강마에는 이미 두루건우 (퓨전이니까 맘대로 이름합치기) 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 결국 토벤이를 끌어 안으며 울기 시작하던 강마에. 자신이 미안하다고 자신의 과거 이야기를 다 불어버린다.
그렇다 사실 강마에의 본성은 나쁘지 않았던 것. 이게 다 (착하게 보여도 진짜로는) 사악한 정명환 탓이었던 것이다. 강마에를 강하게 기르기 위해 토벤이가 조언을 많이 해줬덴다. 츤데레 행동들도 토벤이가 권유한 것. 결국 강마에, 두루미, 그리고 리틀강건우는 최후의 적, 정명환을 무찌르기 위해 힘을 모으기로 결심한다. (싸울 때는 언제고!)
츤데레, 보청기, 그리고 허세가 뭉치면 뭐가 될까? 그래 맞았다. 베토벤. 퓨전을 더욱 연마하고, 토벤이가 최후의 무기로 감춰뒀던 귀걸이까지 사용해서 3명은 한 사람이 되었다. 두둥 베토벤.
...

continue reading ...

일출과 일몰을 그리는 출퇴근

일주일에 3번은 운동가기로 이미 예전부터 해왔으니까, 오늘 아침도 일찍 (어떻게 보면 그리 일찍도 아닌) 서둘렀습니다.

깔끔하게 운동끝낸 후의 상쾌함이란!
맞은 건물에 그려진 일출

전에도 언급했지만 워터루에서 제일 마음에 드는 게, 하늘이 넓다는 것이거든요. 날씨 좋은 날이면 일출과 일몰이 진짜 이쁩니다. 🙂

그리고… 오늘도 약간은 늦게 집으로 귀가하면서 잘못 찍어서 날려 먹은 찍은 사진으로 장난치기
...

continue reading ...

아씨표 웰빙 육개장맛 쌀국수: 우왕 나 낚인거임?

회사에서 퇴근하고 별뜨는 거 보면서 집에 터덜터덜 가면서 배가 고파서 오만상을 찌푸리면 걸어갔댔죠. 엥간해선 칼퇴근하고 야근안하는데, 왠지 오늘밤은 손을 볼 게 남아서 말입니다. 으허헝 옆동네 개발자칸에서 할로윈데이라고 (남은) 초컬릿을 잔뜩 갖고 왔길래 그거나 씹어 먹으면서 일을 했는데 말예요. ㅜ_ㅡ

쌀을 불려두긴 했는데, 밥해서 먹으려면 최소 30분은 기다려야 되서… 대충 챙겨 먹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실수한듯 -_-;

동생이 주말에 나갔다가 사온 인스턴트 쌀국수를 꺼내봤습니다. 동생은 이미 먹어봤는데 영 시원찮았던가 봅니다. 왜일까 했어요. 껍데기는 멀쩡한데 속이 별로였을까요?
...

continue reading ...

아침부터 운동 나가기

새벽녘부터 서둘러서 운동 나왔습니다. 운동 열심히 한담, 깔끔하게 씻고 출근할려고 대충 준비해서 나왔습니다.

우왕 눈온다

근데 눈이 오네요. -_-; 아파트 현관이 얼음탓인지 미끌미끌합니다.
이제 슬슬 겨울이 올려나 보네요. 눈도 오기 시작했고, 물론 본격적으로 내리기 시작하려면 아직 멀었겠지만 두려워집니다. ㅜ_ㅡ

샤방한 하늘 (이라고 쓰고, auto contrast 효과라고 읽습니다)

땀 좀 흘리고 난 후라서 그런지 아침이 상쾌하게 느껴지긴 해요.
대신에… 하루종일 피곤했습니다. /먼산

해외에서 산다는 건 – 9. (졸업한지) 벌써 반년

4년, 길게는 5년이란 세월을 훌쩍 뛰어 넘을 생각은 없습니다. 대학 생활 이야기만 해도 아직은 하나에서 두개는 더 쓸 수 있을 것 같거든요. 사실 짜내려면 한도 끝도 없겠지만 말입니다. (웃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벌써 반년이란 제목으로 글을 쓰는 이유는, 단순히 시간이 빠르게 간다는 것에 대한 한탄과 놀라움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 미래에 대한 호기심과 공포를 떠올렸기 때문이에요. 사실 보이지 않는 것 그리고 알 수 없는 것에 대한 동겸심이 생길만도 하지만… 저는 제 자신이 오늘 이 자리에 앉아 있을 거라고는 생각도 못했기 때문에 미래에 대한 불안감도 적잖게 있습니다.

조금만 시계를 거꾸로 돌려 보면, 이민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 것은 국민학교 때였습니다. 한창 순진할때 (6학년때 이야긴데, 요즘 초등학교 6학년이면 알거 다 아는 나인가요?) 이야기지요. 솔직히 책말고는 관심이 없었습니다. (컴퓨터 오락도 조금은 좋아하긴 했죠. /웃음) 그런 제게 해외로 나간다는 것은 잃는 다는 것이 없었어요. (친구들이나 친척들에겐) 조금 무심한 말이긴 하지만, 철이 없었다기 보다는 살아온 날보다 살아갈 날이 많았던 제게 새로운 경험이란 언제나 환영이었죠. 그리고 (몇번의 문제를 겪은 뒤) 3년뒤에야 저희 가족은 출국했습니다.
...

continue read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