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낯짝이 전보다 두꺼워진 것 같지는 않은데 주변 눈치를 신경 쓰는 빈도수가 줄어들었습니다. 내적으로나 외적으로나 자신감이 상승한 것도, 비밀병기가 생긴 것도 아닌데 왠지 마음이 더 편해졌네요. 해탈한 것이 아닐까 하며 자위해보긴 합니다만, 많은 것을 포기해버렸기 때문인지도 모르겠어요. (웃음)
사실 제가 가장 마음이 편했던 시간은 한국에 있었을 동안이었습니다. 하지만, 결코 정서적으로 안정적이었다는 뜻은 아닙니다. 나름 고민이 많았던 유소년기를 보냈었거든요. (웃음) 아마 맨정신에는 쉽게 말할 수 없는 씁쓸한 기억들이 있습니다. 물론 가정들이 비슷한 경험이 있으리라 믿기에, 제가 아주 불우했던 소년 시절을 보낸 건 아니리라 믿습니다. 제가 가장 불행하다고 자학하는 것은 옳지 않겠지요. (행복과 불행이라, 이 부분에 대해선 본문 내용과 어울리지 않으니 다음 기회에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참 지금의 조커 이미지와는 어울리지 않는 것이 책밖에 모르는 책벌레였거든요. 책만 있으면 모든 게 행복했던 시절이었는데…, 지금은 그놈의 사춘기가 뭐였는지 (꼴에 인간이라고) 주변 눈치를 보면서 살아야 하지 않습니까.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상대방이 어떤 식으로 나를 평가하는지를 신경 쓰게 된 달까요. 자연스러운 일인지도 모르겠습니다만, 내적인 면을 가꾸는 일보다 외면을 가꾸는 일에 시간을 투자하는 일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지 않겠어요. 좋은 게 좋은 거라고 하지만, 사실 정작 고쳐야 할 부분은 무시하고 넘겨버리는 경우가 너무나 많은 것 같습니다.
...